Skip to content
PageViews   Today : 65 Yesterday : 24 Total : 5772244
Counter Status   Today : 5 Yesterday : 20 Total : 420551
조회 수 44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보급 불교문화재 보존등급 D 이하 ‘42%’
법보신문 이재형 기자 2014.08.08


문화재청, 문화재 특별점검 발표
 불교문화재 69건 중 29건 낙제점
 석굴암·해인사 경판 등 관리 부실
 보수정비 시급한 ‘E등급’도 21건

석굴암(국보 제24호),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제52호), 화엄사 각황전(국보 제67호) 등 국보급 불교문화재의 42%가 구조적 안정성 및 보존환경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재청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야외에 노출돼 훼손 위험도가 높은 국보·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와 사찰, 서원 등 47개소 소장 유물 등 7393건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문화재청은 문화재의 훼손도·위험도·관리상태 등에 따라 6개 등급(A~F)으로 분류했다. A~C까지는 보존상태가 무난한 반면, D~F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노출되는 단계다. 숭례문 복원사업 부실 논란을 계기로 실시된 이번 문화재청 실태조사 결과 문화재 보존관리 전반에 문제가 있었음이 거듭 확인됐다.

구조적 결함 등으로 인한 정기·상시 모니터링 183건(2.5%), 보수정비 1413건(19.1%), 즉시 수리조치 87건(1.2%) 등 관련대책이 필요한 보존등급 D~F 문화재가 총 1683건(22.8%)에 이르렀다. 특히 야외에 노출된 석탑 등 다수의 석조문화재는 재질 풍화, 생물오염 등에 따른 잠재적 훼손도가 높아 1601건 중 642건(40.1%)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나 보존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 전면 활주가 크게 휘어진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제67호). 이곳은 벽체의 회벽바름이 떨어져나가고 있는 등 보존등급 E를 받았다.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불교문화재도 심각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 국보 85건 가운데 불교문화재는 69건(81.2%)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A등급 21건, B등급 2건, C등급 17건, D등급 8건, E등급 21건으로 보존등급 D이하가 무려 42%인 것으로 드러났다.

석굴암은 대좌부와 궁륭천장이 갈라지고 색깔이 변했으며, 해인사 장경판전 안에서는 습기가 발견돼 자칫 전각과 경판이 훼손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엄사 각황전은 처마를 받치는 활주가 크게 휘어져 있을 뿐 아니라 벽체 내·외부 회벽이 떨어져나가고, 마루에 균열이 생겨 당장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 중 하나인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은 기둥 파손, 공포 및 추녀 처짐, 누수로 인한 부식, 벽체 박락, 공포재 균열 등 문제가 많았으며,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국보 제6호)도 부재가 갈라지고 떨어지고 있었다. 특히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보 제47호)는 비신표면의 균열과 탈락은 물론 탑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재가 부식했는데도 방치함으로써 오히려 훼손원인이 되고 있었다. 게다가 탑비 주변 성토로 인해 비가 많이 오면 침수의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제12호),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7호),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8호),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제122호),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국보 제197호),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제199호), 장항리서 오층석탑(국보 제236호)도 ‘보존등급 E’를 받아 보존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물급 불교문화재에 대한 보존관리도 부실하기는 마찬가지여서 전체 6개 등급 중 최하위인 F(즉시조치)등급도 8건이나 됐다.

문화재청은 “특별 종합점검 결과에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보수정비 예산 반영 등 분야별 후속 조치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고, 이를 꼼꼼히 추진해 문화재 보존관리의 적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지난해 숭례문 부실 논란에서도 그랬듯 문화재 보존과 관리에 허술했다는 비판에서 벗어나기를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 ?
    선재 2014.08.10 11:21
    민가에 초석 방치…지붕 붕괴…마애불 형상 훼손
    이재형 기자 2014.08.08


    보물급 불교문화재 관리 실태
    총 498건 중 불량관리 97건
    보존등급 ‘F’도 7건이나 돼
    등록문화재 관리상태도 심각
    문화재청, 각종 후속조치 추진

    문화재청이 7393건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문화재 특별점검은 문화재 보존관리 부실 논란에 따른 문제점을 심층 분석·진단하고 범정부 차원의 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됐다. 이러한 문화재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에 대해 “문화재 행정이 시작된 이래 처음 있는 일로 그 의미가 자못 크다”는 게 문화재청 내부의 평가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가 보여주는 충격도 자못 컸다. 국보급 불교문화재의 42%가 구조적 안정성과 보존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과 등록문화재에 있어서도 비슷했다.

    이번 조사대상에 오른 보물 632건 중 불교문화재는 498건(78.8%)이었다. 이 가운데 A등급 131건(26.3%), B등급 56건(11.2%), C등급 213건(42.8%), D등급 5건(1.0%), E등급 85건(17.1%), F등급 7건(1.4%), 기타 1건이었다. 즉 전체 불교문화재 중 ‘보존상태 불량’인 D등급이 이하가 97건(19.5%)이었으며, 특히 F등급을 받은 7건의 보존상태는 대단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 제370호)은 보호각 내부 습도가 높고 대좌의 지대석 등이 파손돼 있었으며, 불상과 상대석 사이에 3cm 정도의 틈도 벌어져 있었다. 또 불상의 오른팔과 목 부분 접합상태가 조악해 재보수가 필요하며, 과거 보존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보물 제379호)은 석탑 북동쪽 20m에 위치한 민가 마당에 초석이 방치돼 있었다. 인접 민가에 들어가는 전기 인입선이 석탑 상부로 통과해 경관을 훼손하고 있으며, 하대갑석 상부의 파손 부분은 정밀조사 후 보수 검토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보물 제581호)도 보존상태가 극히 나빴다. 풍화에 의한 침식작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마애불이 조각된 형상의 훼손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또 암반 표면이 들뜨거나 마애불 주변으로 균열이 다수 발생했고, 암질의 내구성도 많이 저하돼 있어 즉각적인 보존조치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보물 제674호)은 내구성이 저하된 석재의 파손 위험이 커 해체복원이 필요하며, 지반보강 및 지의류 제거 방안과 조잡한 보수 면에 대한 과학적 보존처리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346호)은 초음파 측정결과 풍화로 인한 피해가 대단히 큰 까닭에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할 뿐 아니라 향후 실내 보관·전시가 바람직하다는 판정이 나왔다.

    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제396호)은 지붕기와가 흐트러져 비가 새고 이로 인해 나무들이 썩는 현상이 발생해 우측면 지붕이 붕괴된 상태다. 또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제824호)은 대들보 균열과 파손, 하부 보아지 처짐, 충량 추녀 외측처짐과 내측 들림 변형, 중도리 배면 이동, 기둥 썩음 등 총체적인 문제가 있어 긴급 정밀 안전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불교 등록문화재는 전체 404건 중 7건이었다. 이 가운데 A등급 3건(군산 동국사 대웅전, 경주 구 서경사,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C등급 1건(예산 수덕사 만공탑), E등급 3건(구 동본원사 목포별원, 남양주 흥국사 대방), F등급 1건(서울 흥천사 대방)이었다. 이 중 흥천사 대방은 지붕 부분의 변위 및 노후화가 심하고, 내·외부 누수로 나무가 부식되고 처마선이 처지는 등 현상이 확인됐다.

    이번 문화재청 특별점검에서는 유물을 다량으로 소장하고 있는 사찰이나 향교 등 소장처 47곳에 대한 유물조사도 실시됐다. 이 가운데 사찰전시관은 35곳이었다. A등급(양호)을 받은 사찰은 용주사, 월정사, 선운사, 송광사, 대흥사, 화엄사, 불갑사, 기림사, 불국사, 불영사, 표충사, 통도사, 쌍계사, 해인사 14곳이었다. B등급(주의관찰) 사찰은 동화사, 구인사, 수덕사, 마곡사, 선암사, 흥국사, 도갑사, 백양사, 보림사, 태안사, 직지사, 부석사, 은해사, 봉정사, 청곡사 15곳이었다. C등급(보존처리)을 받은 사찰은 범어사, 법주사, 금산사, 용화사, 무위사, 옥천사 6곳이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특별점검 후속 조치로 △소방·감지 설비 개선·보완 △방재설비 유지관리 업무 전문기관 위탁 확대 △경미 보수 대상 문화재 돌봄사업 시행 △긴급 보수정비 추진 △보수정비 대상 국가지정문화재 예산 반영 △시·도지정문화재 예산 반영 추진상황 점검 및 독려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우리는 감로로 공양하나니 우리에게 죽음도 이미없도다 - Designed by 선재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