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ageViews   Today : 4 Yesterday : 190 Total : 5760904
Counter Status   Today : 4 Yesterday : 35 Total : 419092
조회 수 92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처님나라

불교 기본교리의 상관관계

존재실상으로서의 연기(緣起)의 법

사성제
(四聖諦)

삼법인
(三法印)

인과관계

존재성

연기제법교리

시공관계

오인입장

세계관

십법계

고(苦)

제행무상
(諸行無常)

미지결과

사고팔고

일체개고

시간적

소지

현상적
(現想)

지옥,아귀,축생
  :삼악도(선취(善趣))

수라,인간,천상
  :삼선도악취(惡趣)

(集)

제법무아
(諸法無我)

미지원인

6대

유전문(순관)
(流轉門)

공간적

소단

멸(滅)

영반적정
(涅槃寂靜)

오지결과

환멸문(역관)
(還滅門)

초시간적

소증

현상적
(현상)

 

(道)

오지원인

팔정도(중도)

초공간적

소수

 

삶의 태도로서의 중도(中道)-(팔정도(八正道))

팔정도
(八正道)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

정정진
(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성문(聲聞)

사성법계

삼학

혜(慧)

계(戒)

(공통)

정(定)

 

연각

6바라밀

지혜

보시(布施),지계
(持戒),인욕(忍辱)

정진
(精進

선정
(禪定

(방편,정력(正力),원(願),
(智) : 10바라밀

보살

오분향

혜(慧)

계(戒)

정(定)

혜탈,해탈지견향

불(佛)

삼업의 관계

삼업

신(행위)

구(말)

의(생각)

십악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

망어(妄語), 기어(綺기), 양설(兩舌), 악구(惡口)

탐(貪), 진(瞋), 치(痴)

십선

방생(放生), 보시(布施), 금욕

진실어, 진리어, 화해어. 친절어

무욕심, 자비심, 지혜심

사섭법

보시(布施), 이행, 동사

애어

 

사무량심
(四無量心)

자(慈), 비(悲), 희(喜), 사(捨)

 

#1. 사고팔고: 나고(生),늙고(老),병들 고(病),죽고(死), 미운 것과 만나고(怨憎會),
                     사랑하는 것과 헤어지고(愛別離), 구하는 바를 얻지 못하는것(求不得)
#2. 육(6)대: 지, 수, 화, 풍, 공, 식.
#3. 유전문: 무명, 행, 식, 명색, 육입,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
#4. 환멸문: 노사, 생, 유, 취, 애, 수, 촉, 육입, 명색, 식, 행, 무명.
#5. 6대: 색(色),수(受),행(想),행(行),식(識)
#6. 십악:산 목숨을 죽이는 것(殺生),도둑질(偸盜),삿된 음행(사음),거짓말(妄語), 두 가지 말(兩舌),
             욕지꺼리(惡口),꾸밈말(綺語), 욕심(貪慾),성냄(진에),어리석음(痴暗)
#7. 6바라밀: 보시(布施,dana),지계(持戒,sila),인욕(忍辱,ksanti),정진(精進,virya), 선정(禪定), 반야바라밀(prajna-paramita)
#8. 사무량심: 자(慈,maitri) 는 어원적으로 '우인(友人,mitra)'이라는 말에서 파생한 말로, 진실한 우정 순수한 친애의 마음,
       비(悲,karuna)는 애련·동정 등의 뜻, 희(喜)는 남이 즐거움을 얻었을 때 그것을 흔연히 기뻐해 주는 것이며
       사(捨)는 다른 사람에게 애증원친(愛憎怨親)의 마음을 갖지 않고 항상 평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

우리는 감로로 공양하나니 우리에게 죽음도 이미없도다 - Designed by 선재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