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ageViews   Today : 73 Yesterday : 128 Total : 5760599
Counter Status   Today : 37 Yesterday : 65 Total : 418992
조회 수 5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교 여성복지 ‘방치’ 

불교계에서도 여성복지는 사각지대다. 경제여건 악화로 근래 들어 가출여성과 여성 실직자가 늘면서 개신교 천주교가 이들을 위한 시설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반면, 불교계는 여전히 뒷짐을 지고 있다.

특히 해마다 1천여 명의 가출여성이 양산<경찰청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중 불자 여성이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여성복지시설 확충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종교단체, 여성단체, 사회복지법인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는 모자보호원, 여성쉼터, 여성의 집 등 여성복지시설은 모두 59곳으로 나타났다.

이중 종교계가 운영하는 시설은 29곳이며, 2곳을 제외한 나머지를 개신교와 천주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불교계가 운영하고 있는 곳은 대구 ‘자비의 쉼터(원장 오정스님)’단 한 곳뿐이다.

현재 불교계 복지법인 및 시설은 대략 400여 개. 그러나 이들 시설은 거의 대부분 노인복지나 지역복지(종합복지관)에 편중돼 있을 뿐 여성복지 시설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고, 개신교나 천주교와는 아예 비교조차 되지 않는다.

이처럼 불교여성복지가 낙후된 원인으로는 종합복지관 수탁 중심의 불교계 복지사업 추진, 여성시설 같은 소단위 시설운영의 불교계 외면, 여성복지에 대한 스님의 인식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조계종사회복지재단 이호걸 총무과장은 “정부의 복지정책에 따라 복지사업을 추진해야 예산지원을 받을 수 있어 그동안 여성복지가 소홀해 왔고, 이에 대한 스님들의 인식 부족도 한몫을 했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시립노인요양원 권경임 원장은 “80년대 이후 불교계 복지사업이 종합복지관 수탁에 편중되다 보니 여성복지에 소홀 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불교계 복지 관계자들은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각 교구본사별 여성복지시설의 설치, 종단 차원의 여성복지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 ‘여성의 전화’ 등 여성단체와의 연계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자비의 쉼터’를 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 ‘감천’ 이병규 사무국장은 “상담ㆍ보호 등 소극적 활동에서 법률적 지원, 취업교육, 시설 설립 등 적극적인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불교계의 여성복지 방향 전환은 지역사찰의 사회적 역량 강화와 폭넓은 포교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철우 기자  현대불교

?

우리는 감로로 공양하나니 우리에게 죽음도 이미없도다 - Designed by 선재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