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ageViews   Today : 19 Yesterday : 27 Total : 5759256
Counter Status   Today : 6 Yesterday : 23 Total : 418367
조회 수 285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bk0931.jpg

이번에 카메라를 바꾸고 서천에 가서 찍은 사진...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 보물  제224호

지방적인 특색이 강했던 고려시대의 탑으로, 옛 백제 영토에 지어진 다른 탑들처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하였는데, 특히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基壇)은 목조건축의 기둥과 벽과 같이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사이를 판판한 돌을 세워 막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을 기단에서처럼 기둥과 벽을 따로 마련하여 세워 놓았는데,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몸돌 위로는 지붕돌을 얹기 전에 지붕받침을 2단 올려놓았는데 그 모습이 정림사지5층석탑을 떠올리게 한다. 1층 몸돌의 각 기둥들이 아래로는 기단을 누르고, 위로는 지붕받침을 이고 있어, 마치 신을 신고 관을 쓰고 있는 모양이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느린 경사를 이룬다. 경사면의 아래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 끝에서 위를 받치듯 살짝 들려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형태의 크고 작은 돌이 겹쳐 얹혀져 있고, 그 위로 네모난 돌이 놓여있다.

전체적인 세부양식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따르려 힘을 기울인 흔적은 보이나, 몸돌에 비해 지나치게 큰 지붕돌, 1층에 비해 갑자기 줄어든 2층 이상의 몸돌 등에 의해 균형이 깨지고 있다. 하지만, 백제계 석탑양식의 지방분포에 따라 그 전파 경로를 알아내는 데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

  1. 구미황상동마애여래입상 (龜尾黃桑洞...

  2. 합천 월광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陜...

  3.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龜尾 海...

  4.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

  5. 권오철씨의 홈피에서 탑과별 주제의 ...

  6. 연꽃 사진

  7.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사.

  8. 보물 제59호 숙수사지당간지주(宿水...

  9. 국보 제101호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

  10. 남해 보리암의 나무아미타불 과 바라...

  11. 대구 달성군 옥포면 비슬산 용연사

  12. 선운산 선운사 2

  13. 선운산 선운사

  14. 선운사 장사송

  15. 선운산 도솔암

  16. 순천 선암사

  17. 순천 금둔사지

  18. 송광사 근처의 천자암 및 곱향나무

  19. 전라남도 송광사 3 성보박물관

  20. 전라남도 송광사 2

  21. 전라남도 송광사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우리는 감로로 공양하나니 우리에게 죽음도 이미없도다 - Designed by 선재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